중국 당국과의 갈등 피하기 위한 방편 마련

중국에서 NFT(대체불가능한토큰) 시장이 커지고 있다. 빅테크 기업들이 잇따라 NFT 대열에 합류하고 중고 암시장도 등장했다.

반면 중국 정부가 여전히 NFT 기술을 경계하고 규제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이들 빅테크 기업들은 '디지털 수집품'이라는 용어로 대체하고 있다.

지난 6월 알리바바 그룹의 핀테크 계열사 앤트 그룹은 자사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징탄(Jingtan)'에서 2개의 NFT 월페이퍼를 출시했으며, 텐센트는 지난 8월 NFT 거래 플랫폼 '환허(Huanhe)'를 선보였다. 최근에는 중국판 유튜브라 불리는 빌리빌리도 NFT를 발행하며 NFT 시장에 진출했다.

특히 앤트 그룹의 '징탄'은 중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NFT 플랫폼으로 꼽히고 있다. 미술관의 그림, 음악, 3D 모델 등 수십 종의 디지털 작품들을 '디지털 수집품'으로 출시했으며, 발행한 작품 1만여 개는 수 초 만에 소진됐다.

이 같은 열기에 힘입어 암시장도 등장했다. 알리바바 디지털 플리마켓 시앤위(Xianyu)에서는 'NFT', '디지털 수집품'을 검색해도 결과가 나오지 않지만 '둔황(Dunhuang)'을 검색하면 징탄 NFT 중 하나에 원래 가격의 300배가 넘는 약 3000위안(약 56만 원)에 구매한다는 대기자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계 비즈니스 자문회사 올인컨설팅의 스탠리 차오(Stanly Chao) 상무이사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술과 결제 시스템의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는 알리페이 결합으로 앤트그룹이 NFT에서 뚜렷한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며 "중국의 암호화폐 금지가 핀테크 기업에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현재 중국의 NFT 시장을 면밀히 따지자면 블록체인과는 거리가 멀다. 이더리움처럼 개방된 블록체인 방식은 재정 시스템 균열에 대한 우려로 중국 당국의 반감을 사고 있기 때문. 앤트 그룹의 '징탄'이 중국 NFT 시장에서 급부상한 것도 이같은 이유다. '디지털 수집품'을 자신들의 '알리페이'를 통해 판매하면서 구매자가 감시의 대상에 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의 방식과는 달리 중국 블록체인은 선별된 기관에서 관리하며, 개인은 데이터에 참여하고 인증할 수 없다. 중국 정부는 비트코인 채굴과 거래 등 모든 암호화폐 관련 활동을 불법으로 규정 한 바 있다. 인민일보 등 국영 언론도 NFT 위험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징탄은 NFT 소유자들이 180일 후 자신의 자산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두 번째 소유자는 2년 이후에나 양도가 가능하다. NFT를 개인 간 현금으로 매매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최근에 NFT 시장에 진출한 빌리빌리는 향후 디지털 수집품에 전송 기능을 개시할 것이라고 선언한 바 있다. 현재까지 텐센트, 아마존닷컴, 바이두 등은 이 같은 기능이 없다. 

그러나 중국 당국의 규제의 강도는 더욱 강해질 전망이다. 지난해 12월 중국 인민은행 자금세탁세탁 방지 모니터링 및 분석센터 소장 구원쥔(Gou Wenjun)은 "가상 자산은 분산되어 있고 익명이고 국경이 없다"며 "돈세탁 창구로 전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플레이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