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연 미탭스플러스 대표

블록(Block)과 연결(Chain)이라는 단어의 합성어인 블록체인은 다보스포럼에서 제4차 산업혁명을 이끌 기반기술 중 하나로 선정되며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일부 기업에서는 내부 네트워크망을 블록체인기술로 전환하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안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앞장서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미국·일본 등 선진국은 이미 금융권에서 발행되는 다양한 거래지침에 활용될 방안을 모색 중에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여전히 암호화폐에 대한 논쟁이 끊이질 않고 있다. 단순한 금융상품인지 아니면 증권 같은 자산으로 인정할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제각각이다.

물론 지극히 정상적인 논쟁이라 할 수 있다. 국가가 발행하는 화폐가 아닌 기업이나 개인이 생성한 코드가 화폐로 인식되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는데 이견은 없다. 그러나 개인간 거래가 이뤄지고 있고 실물 경제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만큼 암호화폐를 디지털자산, 또는 개인의 재산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점은 강조하고 싶다.

디지털 통화 거래 내역을 기록하기 위해 개발된 분산형 장부 기록 데이터베이스 기술을 모티브로한 암호화폐는 금융거래에서 거래 시스템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장부를 보관하고 감시할 수 있다. 

신규 거래 발생 시, 새로운 정보의 블록을 별도로 생성하고 그 블록을 기존 장부에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래가 일어날 때마다 분산된 장부들을 서로 대조하기 때문에 강력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어 다양한 산업에 접목시킬 수 있는 최고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국내에서는 그간 투기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어 왔다.

이미 미국에서는 단계적 제도화를 위해 누구나 거래하는 게 아닌 적격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한 ICO가 이뤄지고 있다. 또 북미 최대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최근 암호화폐를 디지털 자산으로 명칭을 변경해 발표한 바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는 암호화폐를 게임과 융합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관련 플랫폼들이 출시되어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블록체인 업계에서 암호화폐에 대한 인식 전환을 위해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지만 정부에서는 규제 가이드라인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아마도 암호화폐가 야기시킬 수 있는 부작용과 불안 요소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우리는 이미 지난해 암호화폐 열풍을 겪으면서 여러 가지 사회적 병폐 현상을 목격했다. 

당연히 정부 입장에서는 조심스럽고 소극적으로 나설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과 안정성을 미뤄볼 때 암호화폐의 부정적인 요소만 걷어낸다면 우리는 4차 산업 혁명에 한발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플레이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